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범제(泛齊)

서지사항
항목명범제(泛齊)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오제(五齊)
관련어앙제(盎齊), 예제(醴齊), 제제(緹齊), 침제(沈齊)
분야왕실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찌꺼기가 뜨는 탁한 술.

[내용]
범제(泛齊)는 예제(醴齊)·앙제(盎齊)·제제(緹齊)·침제(沈齊) 등과 함께 제사에 쓰는 다섯 가지 술, 즉 오제(五齊)의 하나이다. 범제와 예제는 탁한 술이고 앙제·제제·침제는 맑은 술이다. 오제는 오주(五酒)라고도 한다. 『주례(周禮)』에 “주정(酒正)이 오제의 이름을 정했다. 그 중 범제란 술은 맛이 들면 찌꺼기가 제대로 둥둥 뜨는데 지금의 의성료(宜城醪)와 같고, 예제란 술은 다 익으면 즙과 찌꺼기가 모두 가라앉는데 지금 소위 염주(恬酒)라는 것과 같고, 제제란 술은 다 되면 붉은빛이 나는데 지금 소위 하주(下酒)라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성호(星湖) 이익(李瀷)에 의하면 범(泛)과 요(醪)라는 것은 옛사람도 혼용하여 일컫는 것이며, 의가(醫家)에서는 찌꺼기가 없는 술을 약용으로 쓴다고 하였다.

[용례]
禮曹啓 本朝宗廟社稷祭 泛齊醴齊盎齊緹齊沈齊 俱代以淸酒 (후략) [『세조실록』 2년 12월 22일]

[참고문헌]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성호사설(星湖僿說)』

■ [집필자] 정승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