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백피화(白皮靴)

서지사항
항목명백피화(白皮靴)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담복(禫服), 상복(喪服)
관련어담제(禫祭), 연제(練祭), 졸곡(卒哭)
분야생활 풍속
유형의복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졸곡(卒哭) 후부터 길복(吉服)을 입기 전까지 상중(喪中)에 신는 흰색 가죽으로 만든 목이 긴 신.

[내용]
왕을 비롯하여 왕세자, 친자, 종친·문무백관이 졸곡 후 지내는 영사시제급조부의(迎賜諡祭及弔賻儀)·사시의(賜諡儀)·사제의(賜祭儀)·상제의(祥祭儀)·담제의(禫祭儀)를 치를 때 신는 흰색 가죽신이다.

[용례]
禮曹啓 世宗大王 文宗大王祥禫儀軌內 大祥日 (중략) 殿下權就齋殿 易服黲袍 翼善冠 烏犀帶 白皮靴 宗親 百官出就次 俱易服深染玉色圓領 烏紗帽 黑角帶 白皮靴 行祭如儀 禫日 殿下詣齋殿 具黲袍 翼善冠 烏犀帶 白皮靴[『성종실록』 1년 7월 24일].

■ [집필자] 이민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