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발병부(發兵符)

서지사항
항목명발병부(發兵符)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부신(符信), 상서원(尙瑞院), 병부(兵符)
분야정치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옛날 군대를 동원할 때 쓴 부신.

[내용]
발병부는 군사를 징발하는 데 쓰는 부신(符信)이다. ‘발병(發兵)’이라고 전자(篆字)로 새긴 나무쪽인데, 가운데를 쪼개어 오른쪽[右符]은 제도(諸道)의 군사 책임자에게 주고, 왼쪽[左符]은 상서원(尙瑞院)에 간직하여 두었다가, 군사를 징발할 필요가 있을 때에 그 좌부(左符)와 교서(敎書)를 내려서, 이를 받은 사람은 이것을 우부(右符)와 맞추어 본 연후에 발병에 응하였다. 이것은 병부(兵符)라고도 하며, 현존하는 유물을 살펴보면 지름 7㎝, 두께 1㎝가량의 둥글납작하고 곱게 다듬은 나무쪽의 한 면 복판에 ‘발병(發兵)’이라는 두 글자를 새겨 놓았다.

[용례]
兵曹啓諸浦兵符條件 (중략) 一陸軍則諸邑已受發兵陰符 獨水軍無符 今宜造陰 陽符 一面書刻浦名 一面書刻發水軍三字 分授陰符于諸浦萬戶及僉節制使 陽符于觀察使處置使 徵番上船軍時 相合用之 又作發兵陽符 一面篆烙水軍二字 送于處置使 發下番船軍于諸邑 則與諸邑曾受陰符相合用之 幷送陽符于觀察使節制使 凡徵兵事 須相合用之 軍數則必考署合經印關[『세조실록』 4년 8월 24일]

[참고문헌]
■ 『속대전(續大典)』

■ [집필자] 강신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