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문비(門扉)

서지사항
항목명문비(門扉)
용어구분용어용례
동의어문짝
분야문화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문짝을 이르는 말.

[내용]
대체로 대문, 성문과 같이 판문으로 이루어진 문의 문짝을 문비(門扉)라고 한다. 『성종실록』 20년 기사와 『중종실록』 5년의 기사 등은 모두 성문에 대한 용어로 사용된 사례이다. 『경재유고(敬齋遺稿)』에 실린 「종묘추석제겸행신주천진급제이실문비개배고유문(宗廟秋夕祭兼行新酒薦進及第二室門扉改排告由文)」에서는 종묘의 각 실에 다는 문을 문비라 하였다. 또 『산릉도감의궤(山陵都監儀軌)』에는 문비의 수량이 기록되어 있는데 정자각(丁字閣) 주변에 설치된 홍문(紅門)에 달렸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인조실록』 3년의 선릉(宣陵) 정자각 정문에 화재가 일어나 문비 한 짝이 소실되었다는 기사에서는 정자각의 문짝 역시 문비로 표현하였다. 또한 1422년(세종 4)에 정리한 산릉(山陵)의 제도에서 문비석은 석실의 남쪽에 위치하는 석실의 정문이 된다.

그림  문비석

[용례]
山陵制度 尺用營造尺 石室內廣八尺 高七尺 長十一尺 (중략) 門扉石二 高各七尺 廣各三尺五寸 厚各一尺 門倚石一 高七尺 廣七尺 厚二尺[『세종실록』 4년 9월 6일]

戶曹據平安道觀察使李克墩關啓 本道若有虜變 江界城必先受敵 其南北二門 宜固其扃鐍 以絶窺覦之心 請以鐵裹門扉 以嚴備禦 從之[『성종실록』 20년 3월 14일]

宣陵丁字閣正門失火 門扉一隻盡燒[『인조실록』 3년 11월 15일]

[참고문헌]
■ 『(인목왕후)산릉도감의궤((仁穆王后)山陵都監儀軌)』
■ 『(효종영릉)천릉도감빈전소의궤((孝宗寧陵)遷陵都監殯殿所儀軌)』
■ 『경재유교(敬齋遺稿)』
■ 장기인, 『한국건축사전』, 보성각, 1998.

■ [집필자] 정정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