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무고(舞鼓)

서지사항
항목명무고(舞鼓)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교방고(敎坊鼓), 사고무(四鼓舞), 이고무(二鼓舞), 팔고무(八鼓舞), 향당교주(鄕唐交奏), 향악정재(鄕樂呈才)
분야문화
유형작품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고려시대부터 전하는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개설]
무고(舞鼓)는 음악의 절차에 따라 북을 치며 춤추는 정재이다. 조선후기에는 원무(元舞)와 협무(挾舞)로 역할이 나누어진다. 원무는 북채를 두 손에 들고 시종 북을 에워싸며 마치 꽃봉오리 위에 하늘거리는 나비인 양 어르고 두드리며 돈다. 원무가 도는 동안 협무는 삼지화(三枝花)를 두 손에 들고 그 둘레에서 춤춘다.

『고려사』 「악지」에 따르면, 무고에서 춤이 바뀌는 모습은 마치 한 쌍의 나비가 훨훨 날아 꽃을 감도는 것 같고, 두 마리의 용이 서로 여의주를 빼앗으려고 다투는 것 같다고 하였다. 그래서 무고는 고려시대 악부(樂部)에서 가장 뛰어난 것으로 평가 받았다.

[내용 및 특징]
무고의 기원은 고려 충렬왕대에 이혼(李混)이 영해(寧海)에 폄직되었을 때, 바닷가에서 물에 뜬 나무토막을 얻어 북을 만들었는데, 그 소리가 크고 웅장하여 그 북을 두드리면서 춤을 춘 것에서 유래되었다.

무고를 춤출 때 쓰이는 북의 수도 다양했다. 『악학궤범』에 따르면 북이 8개나 4개인 경우에는 무원의 수와 북의 수가 같으나, 무원이 2인일 경우에는 북 1개를 함께 친다고 하였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이르러서는 무고 1개를 가운데 두고 4인의 원무(元舞)가 북 가까이에서 춤을 추면 4인 또는 8인의 협무(挾舞)가 그 주위를 돌면서 원무와 조화를 이루면서 춤을 추었다. 대한제국기에는 북을 2개 놓은 쌍무고를 연출하기도 했다.

무고의 무복(舞服)은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방위에 따라 다른 색깔의 옷을 입었다는 특징이 있다. 『악학궤범』에서는 동방 청색, 남방 적색, 서방 백색, 북방 흑색의 무복을 입었다. 1829년의 『진찬의궤』 권3에 의하면, 무원(舞員)은 화관을 쓰고 청·적·흑·초록 단삼(單衫), 속은 남색상(藍色裳), 거죽은 홍초상(紅綃裳)을 입고 홍단금루수대(紅緞金鏤繡帶)를 띠고, 오채한삼(五彩汗衫)을 매고 초록혜(草綠鞋)를 신는다고 하였다. 또한 1848년(헌종 14)의 『진찬의궤』 권3 정재여령조(呈才女伶條)에 의하면, 위의 여령의 복식과 같고 황초단삼(黃綃單衫)에 각각 청·홍·흑·백의 쾌자를 입는 것이 다르다. 1877년(고종 14)의 『진작의궤』에서는 원무가 자적갑사괘자(紫的甲紗掛子)에 남전대(藍戰帶)를 띠는 점이 순조, 헌종 때의 복식과 다르다고 기록되어 있다.

무고를 춤추면서 중간에 부르는 노래는 고려에서 조선전기까지 「정읍사(井邑詞)」였으나, 순조대에는 효명세자가 무고의 창사(唱詞)를 지었고 그 가사로 대한제국 때까지 불렀다. 무고의 반주 음악은 고려와 조선전기까지 정읍이었다. 『악학궤범』에 따르면 음악은 정읍 만기(慢機)-중기(中機)-급기(急機)로 진행되어 느린 템포에서 점차 빠르게 연주되었다. 조선후기에는 반주 음악이 향당교주(鄕唐交奏)로 바뀌었다.

1893년(고종 30)의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에 실린 무고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향당교주인 경만년지곡(慶萬年之曲)을 연주하면, 악사가 북과 북틀을 받들고 북채 8개를 안고 들어가 전 안에 놓는데, 북채를 북 앞에 나누어 벌려놓고 나간다. 원무 4인이 춤추며 북 앞으로 나아간다. 손을 모으고 족도하다가 꿇어앉아 엎드려 북채를 집고 일어서서 창사한다.

무고의 원무 창사

달처럼 둥글게 가선(歌扇)을 만들고 [鏤月爲歌扇]

구름처럼 너울대는 춤옷을 만들었네 [裁雲作舞衣]

바람이 일어 눈발 휘몰아치는 듯 [因風回雪影]

마치 제비 한 쌍이 짝을 지어 날아가는 듯 [還似燕雙飛]

다시 향당교주를 연주하면, 협무 8인이 춤추며 북 앞으로 나아가 창사한다. 이어서 사방으로 대형을 만들어 장고 소리에 맞춰 북을 치기도 하고, 북을 등지며 회선(回旋)한다. 무원 12명이 두 대열로 나뉘어 족도하며 섰다가, 엎드려서 북채를 본래 있던 자리에 놓고 일어나서 춤추며 물러난다. 악사가 들어와 북과 북채를 안고 나가면 음악이 그친다.

한편 이 춤에 쓰는 북은 북면[鼓面]에 청색·홍색·백색·흑색으로 원광(圓光)을 그려서 사방(四方)을 나타냈고, 북의 가죽 지름은 1자 7치 3푼이었다고 『악학궤범』에 전한다.

[참고문헌]
■ 『악학궤범(樂學軌範)』
■ 『진작의궤(進爵儀軌)』
■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
■ 『진찬의궤(進饌儀軌)』
■ 『무고무보(舞鼓舞譜)』

■ [집필자] 이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