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명정(銘旌)

서지사항
항목명명정(銘旌)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국장(國葬)
분야왕실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국상(國喪)을 지낼 때 상여 앞에서 길을 인도하고 하관이 끝난 뒤 관 위에 씌워서 묻는 깃발.

[내용]
명정에 대한 규정은 1419년(세종 1) 정종의 국장(國葬)을 치르는 과정에서 그 의주(議奏)가 처음 나온다. 여기서 발인(發靷) 시 명정의 위치는 보삽(黼翣), 유거(柳車), 화삽(畫翣), 집탁사마(執鐸司馬)의 뒤였고, 능에 이르러 재궁(梓宮)을 하관할 때 깃대는 떼어버리고 그 위에 올려놓는다고 규정되었다. 이후 1426년(세종 8) 태종과 1446년(세종 28) 소헌왕후(昭憲王后)의 국장을 거치면서 명정과 연관된 발인(發引), 천전(遷奠), 견전(遣奠), 노제(路祭) 등의 의식이 재조정되어 『세종실록』 「오례」에 수록되었고, 이것이 일부 수정되어『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기재됨으로써 조선 전 시기에 준수되었다.

『국조오례의』에 따르면 왕과 왕비의 명정에 대한 규정은 다음과 같다. 명정을 만드는 재료는 붉은 깃발[絳段子]로 아래와 위에는 축(軸)을 다는데, 아래 축에는 양 끝에 검은 매화나무[烏梅木]을 대었다. 그 너비는 비단 폭 전체를 쓰고 길이는 조례기척(造禮器尺)에 따라 9척을 사용하였다. 명정에 기재되는 내용은 왕의 경우 금가루를 개어[泥金] 전자(篆字)로 ‘대행왕재궁(大行王梓宮)’이라 쓰고 왕비는 ‘대행왕비재궁(大行王妃梓宮)’이라 썼다. 명정의 형태는 대나무로 대[杠]를 만들되 명정의 길이와 같게 하고, 이무기 머리[螭頭]를 새기고 황금을 칠해서 대의 머리에 꽂는 방식이었다. 이 명정은 영좌(靈座)의 오른쪽에 설치하는데, 받침대[趺]를 갖추었다.

주목되는 것은 명정의 기본적인 크기, 기재 내용 등이 조선 전 시기 동일했지만 명정을 장식하는 방식은 시대마다 다르다는 점이다. 즉 『세종실록』 「오례」에 없던 명정의 아래쪽 받침대가 『국조오례의』에 추가되었고, 이무기 머리가 명정을 물고 있는 형상도 양자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춘관통고(春官通考)』에는 이무기가 물고 있는 형상 및 홍사(紅絲)의 사용, 하단의 형태 등이 『국조오례의』와 달리 나타나 그 시대적 변화를 알려주고 있다.




[용례]
銘旌 以絳紗爲之 廣於幅 長九尺 用竹爲杠 如其長 刻螭頭 韜於杠者 有跌[『세종실록』오례 흉례 서례 흉장]

[참고문헌]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춘관통고(春官通考)』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집필자] 한형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