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동철승(銅鐵繩)

서지사항
항목명동철승(銅鐵繩)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삼갑승(三甲繩), 승(繩), 이갑승(二甲繩), 줄(乼)
분야문화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구리와 쇠를 혼합한 재료로 꼬아 만든 줄.

[내용]
동철승(銅鐵繩)의 동철은 재료를 의미하며, 승은 꼬아 만든 줄을 의미한다. 건축에 사용되는 줄에는 줄(乼), 승(繩)으로 부르는 것이 있다. 이들은 숙마(熟麻), 박달나무 껍질, 삶은 삼의 속껍질, 생갈, 느릅나무 껍질, 짚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었다. 승은 꼬아 만든 줄의 수에 따라 이갑승(二甲繩), 삼갑승(三甲繩) 등으로 구분하고, 줄의 길이에 따라 대ㆍ중ㆍ소승으로 나누기도 한다. 승의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는 파(把)이며 1파는 10척(尺)이다.

[용례]
南設三階 石室之南七尺許 掘地深五尺 用三物築底 厚一尺五寸 以油灰暫塗誌石內面四邊 勿使侵近字畫 卽以蓋石相合 又塗油灰於兩石合縫之隙 以銅鐵繩束之 橫縮各一置於掘地之中 其四方及上面以三物 徐徐堅築 厚一尺五寸後 以本土塡築埋之[『세종실록』 오례 흉례 의식 치장]

[참고문헌]
■ 경기문화재단 편집부, 『화성성역의궤 건축용어집』, 경기문화재단, 2007.
■ 장기인, 『한국건축사전』, 보성각, 1998.

■ [집필자] 정정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