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대행대왕(大行大王)

서지사항
항목명대행대왕(大行大王)
용어구분용어용례
동의어대행왕(大行王)
관련어대덕행(大德行)
분야왕실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시호를 올리기 전까지 승하한 왕을 지칭하는 용어.

[내용]
대행의 의미는 “살아생전에 큰 행적을 남겼으면 큰 이름을 받고 행적이 미세하면 작은 이름을 받는다[大行受大名 細行受小名].”라고 한 데서 유래했다. 이 칭호는 중국 한나라 때에 처음 사용했다. 조선에서는 이 칭호를 중국에서 시호를 내리기 전까지 사용했다. 왕은 이미 유덕자(有德者)이며 성인으로 인식되어 있었기 때문에, 큰 이름을 받아야 할 존재였다. 그리하여 대행이라는 용어를 쓰게 되었으며, 대덕행(大德行)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또, 대행을 ‘멀리 가서 돌아오지 않는다는 말’로 해석하기도 하는데, 모두 죽은 왕과 구별하기 위해 쓰기 시작했다는 측면에서는 서로 같다.

[용례]
今大行大王國喪時 竿子鏡匣 請依昭憲王后時例[『문종실록』 즉위년 3월 3일]



[참고문헌]
■ 『문헌통고(文獻通考)』

■ [집필자] 임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