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대평소(大平簫)

서지사항
항목명대평소(大平簫)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관악기(管樂器)
동의어난난이, 날나리, 날라리, 대평쇼[鎖吶(笛)], 대평슈[鎖吶(笛)], 대평슈[笛], 사납, 쇄납, 철적(鐵笛), 태평소(太平簫), 호적(胡笛), 호적(號笛)
관련어대평수(大平手)
분야문화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태평소(太平簫)의 다른 표현. 여덟 개의 지공(指孔)과 취구(吹口) 그리고 동팔랑(銅八郞)으로 이루어져 있는 세로로 부는 관악기.

[내용]
태평소는 쇄납·호적(胡笛, 號笛)·철적(鐵笛)·난난이·날라리·사납 등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렸다. ‘태평소’를 ‘대평소(大平簫)’로 표현한 곳은 『악학궤범』의 당부악기도설(唐部樂器圖說)과 『경국대전』 취재조(取才條) 등이고, 함화진의 『조선악기편』에도 보인다. 조선통신사행렬도에는 붉은색의 벨(bell))이 없는 형태의 악기를 대평소라고 기록해놓았다. ‘대평소’와 유사한 용어에 대평수(大平手)가 있다. 대평소는 태평소의 다른 표현이지만, 대평수는 나발의 다른 표현이다. ‘대평소’는 악기 명칭이자 군영에서 태평소를 연주하는 연주자의 뜻으로 사용되었다.

[용례]
議政府據兵曹呈啓 吹螺赤【卽吹角人也】五司 各領或少或無 不均未便 元加設竝五十名 每一領差二名 其預差五十名 亦每領分隷二名 令領率護軍 考其仕日 報兵曹 憑考敍用 大平簫【卽吹大平簫人也】元加設幷二十名每司差四名 預差二十名 每司亦分隷四名 其敍用之法 一依吹螺赤例 從之[『문종실록』 1년 8월 10일]

[참고문헌]
■ 이숙희. 『조선후기 군영악대 취고수·세악수·내취』, 태학사, 2007.

■ [집필자] 이숙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