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대전관(代奠官)

서지사항
항목명대전관(代奠官)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헌관(獻官)
관련어국상(國喪), 상식(尙食)
분야정치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제사 때 임금이나 왕세자를 대신하여 향을 피우고 술잔을 올리는 헌관(獻官)을 이르는 말.

[내용]
대전관(代奠官)은 국상에서 장사 이전에 전을 올릴 때 향을 피우고 술을 올리는 역할을 한다. 분향하고 잔을 올릴 때 제사처럼 초헌, 아헌, 종헌의 구분 없이 향도 한 번에 세 번 피우고, 술도 연달아 세 잔을 올린다. 대전관의 관품은 조선초기에는 종친 1품 이상이 맡았으나 후기로 내려오면서 종친 2품이 맡는다. 소상인 경우에는 종친 3품이 맡는다.

국상 때 대전관은 향로와 향합, 초가 진설되면 손을 씻고 향안 앞에 나아가 북쪽을 향해 꿇어 앉아 세 번 향을 피우고, 술을 올린다. 술은 연달아 석 잔을 올린다. 왕비 즉 내상인 경우에는 대전관이 하지 않고 상식(尙食)이 한다.

[용례]
院相金尙喆 進環絰 挾侍進斂王世孫髮加之 王世孫號哭不已 尙喆曰 顔色之慼 哭泣之哀 若是其過節 將於宗社何 伏乞節抑 以副臣民之望 內侍設靈几設奠 代奠官鶴林君焴跪香案前行禮 王世孫入哭 在位者皆哭[『영조실록』 52년 3월 5일]

[참고문헌]
■ 『의례(儀禮)』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 [집필자] 정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