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대장군포(大將軍砲)

서지사항
항목명대장군포(大將軍砲)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중화기(重火器), 죽절(竹節)
분야정치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불씨를 손으로 점화, 발사하는 유통식(有筒式) 화기의 일종.

[내용]
대장군포는 조선후기에 주로 사용되었다. 이것은 수철로 주조한 것이며, 통신에는 포구변대를 제외하고 죽절은 모두 일곱 개가 조성되어 있다. 다른 화포와 달리 죽절의 간격이 넓고 모가 났으며, 또 깊은 것이 특징이다. 약실은 여덟 번째 마디에서 점차 굵어지다가 다시 항아리 밑동처럼 줄어들고 끝은 막혀 있으며 약실 중앙 위쪽에는 화약에 불을 붙이는 선혈이 뚫려 있다. 두 번째 죽절과 마지막 죽절에는 좌우와 위쪽으로 10㎝가량 튀어나온 포이가 있으며, 이 포이의 위쪽에 쇠고리가 달려 있어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주조되었다. 이 화포는 중화기(重火器)에 속하며, 특수 구조를 띠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용례]
大駕 夕次宣川 (중략) 天朝自有開山大砲 大將軍砲 神火鏢鎗 猛將精兵 霧列雲馳 倭兵百萬 不足數也 況文武智略之士 足以灼見奸謀 逆節凶萌 雖有蘇 張 鞅 睢之徒 復生於世 安得窺天朝淺深乎[『선조실록』 25년 6월 18일]

[참고문헌]
■ 국립민속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 -도검·화기류-』, 2003.
■ 육군박물관, 『육군박물관도록』, 2005.
■ 육군박물관, 『학예지』9(화약병기 특집), 2002.

■ [집필자] 강신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