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서지사항
항목명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영의정(領議政), 우의정(右議政), 좌의정(左議政)
분야정치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문산계(文散階) 정1품의 상계(上階).

[내용]
1392년(태조 1)에 관제를 새로 정할 때 고려의 특진보국삼중대광(特進輔國三重大匡)을 특진보국숭록대부(特進輔國崇祿大夫)로 개칭하였는데, 이것이 뒤에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로 다시 개칭되었다. 대광보국숭록대부의 품계를 받는 관직은 영의정·좌의정·우의정·사부·영사 등이었다.

[용례]
敎輸忠衛社協贊靖難功臣大匡輔國崇祿大夫河東府院君鄭麟趾[『단종실록』 3년 1월 24일]

[참고문헌]
■ 남지대, 「조선초기 산계[관품]의 구조와 기능」, 『한국문화』 13, 1992.
■ 이성무, 「조선초기의 문무산계」, 『조선학보』 102, 1982.

■ [집필자] 안정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