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당홍역(唐紅疫)

서지사항
항목명당홍역(唐紅疫)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벽역신방(僻疫新方)
분야문화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오늘날의 성홍열(scarlet fever)로 추정되는 조선시대 민간 전염병 중 하나.

[내용]
당홍역(唐紅疫)은 목의 통증과 함께 고열이 나고 전신에 발진(發疹)이 생기는 전염병이다. 1613년(광해군 5) 처음 등장한 질병으로 전국적으로 발생하였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후 조선후기에 주로 유행한 질환 중 하나로 추정된다. 당시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지봉유설(芝峰類說)』 등에서는 이전에는 없었던 질병이라고 기록하였다. 광해군은 당대 의관이었던 허준(許浚)에게 이 질병의 분석과 처방을 지시하기도 하였다.

이후 허준은 이 질병의 치료서로 1613년 『벽역신방(僻疫新方)』을 저술했는데, 서문에서 밝힌 질병의 증상은 "머리가 아프고 몸이 쑤시며 오한이 나 벌벌 떨고 고열이 나며, 머리·얼굴·신체가 붉게 부어올라 심하게 아프고 온몸에 부스럼이 생기며 정신이 어지럽고 혼란스러우며 답답하면서 조급하며 헛소리를 지껄인다. 심해지면 미쳐 날뛰거나 인후에 종통이 생겨 꽉 막히게 된다."라고 하였다. 조선시대 의학사를 연구한 미키 사카에[三木榮]는 당홍역에 대한 허준의 진단을 서양의학의 성홍열(猩紅熱)과 유사한 것으로 파악한 바 있다.

[용례]
禮曹啓曰 近來運氣失序 疾疫爲災 天行班疹自秋熾發 閭閻之人 多致不救 此前所稀罕之証也 或拘於禁忌 或昧於治療 坐視其死 莫敢下手 民生夭扎 誠爲矜惻 請令內局名醫 博考方書 經驗諸方 纂爲一書 印出頒布 答曰 令許浚等 速爲纂出 厲壇更爲祈禳 (自秋冬間有此疫 俗稱唐紅疫 又癘疫間發 自是無虛歲 東城外僵尸相枕 人以爲殺戮强魂之所致云)[광해군일기(중초본) 5년 10월 25일 6번째기사]

[참고문헌]
■ 『벽역신방(僻疫新方)』
■ 『지봉유설(芝峰類說)』
■ 신동원, 「허준의 성홍열 연구」, 『한국과학사학회지』21.2, 1999.
■ 三木榮, 『朝鮮疾病史』, 大板, 1962.

■ [집필자] 원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