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광연루(廣延樓)

서지사항
항목명광연루(廣延樓)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창덕궁(昌德宮)
관련어경회루(慶會樓), 누각(樓閣), 별전(別殿), 빈전(殯殿), 사신(使臣), 수강궁(壽康宮), 연회(宴會), 의례(儀禮)
분야왕실
유형건축·능 원 묘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조선초기 창덕궁에서 군신(君臣)이 모여 연회하던 누각.

[개설]
1405년(태종 5) 태종이 창덕궁을 시어궁으로 삼으면서 새로이 조성한 누각이다. 1406년(태종 6) 4월, 창덕궁의 동북쪽에는 해온정(解慍亭), 동남쪽에는 광연루가 마련되었는데 주로 종친과 신하를 불러 연회를 베풀던 장소였다[『태종실록』 6년 4월 1일].

광연루는 경회루(慶會樓)에 버금가는 누각으로 조성한 흔적이 있으나 연못의 규모가 경회루보다는 작았다[『태종실록』13년 4월 12일]. 2층으로 구성되어 신하들을 시험하거나 소대하는 일은 광연루의 아래서 이루어졌고, 연회나 구경은 누각의 위에서 이루어졌다. 광연루의 아래에는 부용각이라는 부속실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예종실록』 즉위년 9월 21일].

[위치 및 용도]
창덕궁의 동쪽 수강궁(壽康宮)과 가까운 곳에 있었는데, 지금의 낙선재(落善齋) 근처로 추정된다. 사신을 접대하고 연향을 베풀며 군신과 종친이 함께하는 놀이 공간으로 쓰였고, 태종이 광연루 아래 별전에서 승하했다고도 기록되어 있다. 연못을 파 연꽃을 옮겨 심고 주변에 아름다운 화목을 심어 정원을 조성하여, 꽃구경하며 소요하는 장소로도 쓰였다[『태종실록』 9년 3월 26일][『태종실록』 11년 6월 14일]. 누각에서 격구와 활쏘기를 즐기며 연향을 베푼 일이 잦았던 것으로 보아 궁궐 한쪽 너른 공간에 위치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나라에 가뭄이 들었을 때 동자를 모아 비가 내리도록 기도하는 장소로도 쓰였다.

[변천 및 현황]
단종 때 피서할 별실을 광연루 옛터에 세웠다는 『조선왕조실록』 기사가 있어, 단종 이전에 광연루가 소실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세조 때에는 광연루에서 잔치를 베풀면서 성삼문(成三問) 등이 거사할 것을 알아채고 미리 세자를 그 자리에 참석치 못하게 했다는 기록도 있다. 이것으로 보아 새로 별실을 세워 광연루로 호칭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성종 때 신하들에게 술과 음식을 내려 잔치한 기록을 끝으로 광연루의 쓰임은 보이지 않는데, 1484년(성종 15) 창경궁을 창건하면서 철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형태]
건물 앞에 연못이 조성되어 있고 2층의 규모로 지어져 위·아래층을 함께 사용했던 누각으로 추정된다.

[관련사건 및 일화]
태종 때 광연루의 아래층에서 명나라 황제에게 조공할 처녀를 왕과 왕비가 직접 선발하였고 처녀의 아버지들을 불러 음식을 내려 주었다.

세종의 모후인 원경왕후(元敬王后)가 수강궁에서 승하하자 광연루와 수강궁의 근처인 명빈전(明嬪殿)에 빈소를 마련하고 세종은 광연루 동쪽, 한 칸 집에서 머물려고[居廬] 하였다. 그러나 큰비가 오고 물이 넘쳐 광연루 아래로 옮겨 머물렀다[『세종실록』 2년 7월 7일][ 『세종실록』 2년 7월 13일 3번째기사].

[참고문헌]
■ 『속동문선(續東文選)』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임하필기(林下筆記)』

■ [집필자] 조옥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