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관사(管事)

서지사항
항목명관사(管事)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토관직(土官職), 팔품(八品)
관련어공무랑(供務郞)
분야정치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문반의 정8품 토관직(土官職).

[내용]
공무랑(供務郎)이 받는 관직으로, 함흥부·영흥부·평양부·영변대도호부·경성도호부의 도무사·영작서·사창서·융기서·제학서 등에 두었다.

토관직은 고려말기부터 조선초기까지 평안도·함경도·제주도 등지의 토착민에게 주었던 특수 관직으로, 문반과 무반으로 구분되었다. 문반은 지방행정의 실무를 맡았고, 무반은 군사를 담당하였다.

[용례]
兵曹啓 今奉傳旨 沙汰冗員 上林園管事減五 副管事減三 典事減九 副典事減十 給事減二十九 副給事減三十四 從之[『세조실록』 3년 7월 12일]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이재룡, 「조선초기의 토관에 대하여」, 『진단학보』 29·30, 1966.

■ [집필자] 이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