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계체석(階砌石)

서지사항
항목명계체석(階砌石)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장대석(長臺石)
동의어계체(階砌)
분야문화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건축물의 계단석·기단석·섬돌과 같은 장대석(長臺石). 또는 무덤 앞의 평평한 땅에 놓는 장대석.

[내용]
계체석(階砌石)은 건축물의 기단석·계단석·섬돌 등으로 사용되는 장대석을 가리키기도 하고, 산릉 조성 시 무덤 앞의 평평하게 만든 땅에 놓는 장대석을 가리키기도 한다. 일반 사전에는 “무덤 둘레를 평평하게 한 후 앞쪽에 상석을 두고 단을 이루기 위해 장대석을 일렬로 두는데 이를 계체석이라 한다.”고 나와 있으며, 산릉의 경우 3단 정도 형성한다. 『조선왕조실록』에는 두 가지 뜻이 모두 사용되고 있다. 광해군대에 인왕산 아래 인경궁과 경희궁을 짓기 위해 많은 석재가 필요했는데, 이때 석재를 구하기 위해 무덤에 놓여있는 계체석을 가져다 사용하여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용례]
兵曹啓 在前大臣禮葬 造墓軍人三百名 今不用石床、長明燈 且三階砌 皆用雜石 功役減少 自後上等禮葬軍人二百名 中等一百五十名 下等一百名 定數役使 從之[『세종실록』 7년 6월 27일]

營建都監啓曰 當此新闕營造之時 石役極爲浩大 閭閻間貿用之處 亦至於殆盡 而淸溪副令鼇家垈 在於社稷洞口 其家垈階砌石一百十箇 (中石柱二十八箇 小石柱四十二箇 合一百八十箇) 欲納都監 以補國用云 以貧寒宗室 不爲販賣 如是願納 其志可嘉 似當有勸獎之擧 (惶恐敢稟) 傳曰 知道 淸溪副令其誠可嘉 准給其價後 所當加資 以勸他人[『광해군일기(중초본)』 9년 7월 13일]

[참고문헌]
■ 김왕직, 『알기 쉬운 한국건축용어사전』, 동녘, 2007.
■ 장기인, 『한국건축사전』, 보성각, 1998.

■ [집필자] 신지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