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경흥부(敬興府)

서지사항
항목명경흥부(敬興府)
용어구분전문주석
분야정치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조선 태조대에 중궁의 요속(僚屬)을 관장한 관서.

[개설]
경흥부는 1392년(태조 1) 문무백관의 관제를 정할 때 중궁(中宮)의 요속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396년 태조의 계비(繼妃)인 현비(顯妃)가 사망한 뒤에도 운영되다가 정종의 즉위와 함께 혁파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1392년 조선을 건국한 후 문무백관의 관제를 새로 정할 때 중궁의 요속을 관장하기 위해 설립하였다[『태조실록』 1년 7월 28일].

[조직 및 역할]
처음 설치될 당시에는 정3품의 좌·우사윤(左·右司尹) 각 1명, 정7품의 승(丞) 2명, 정8품의 주부(主簿) 2명, 8품 거관(去官)서리(書吏) 4명으로 구성되었다. 1397년 에 정2품 이상관이 겸하는 판사(判事)가 임명되어 사윤 이하를 지휘하면서 부사를 총괄하였다.

[변천]
경흥부는 1396년 태조의 계비인 현비가 사망한 뒤에도 혁파되기는커녕 정2품 이상이 겸하면서 부사를 총괄하는 판사가 설치되는 등으로 그 관아 지위가 강화되면서 운영되었고, 1399년(정종 즉위) 정종 즉위와 함께 혁거되었다.

[참고문헌]
■ 한충희, 『조선초기의 정치제도와 정치』, 게명대학교출판부, 2006.

■ [집필자] 이석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