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건춘문(建春門)

서지사항
항목명건춘문(建春門)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경복궁(景福宮), 계조당(繼照堂), 광화문(光化門), 신무문(神武門), 영추문(迎秋門)
분야왕실
유형건축·능 원 묘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경복궁 동문(東門)의 이름.

[내용]
조선시대의 정궁인 경복궁에는 동·서·남·북 네 방향에 궁문이 있는데, 동문은 건춘문(建春門), 서문은 영추문(迎秋門), 남문은 광화문(光化門), 북문은 신무문(神武門)이라 하였다. 이 네 개의 궁문과 도성의 여러 문은 함부로 지나다닐 수 없었고, 표신(標信)을 대조한 후에야 출입이 허가되었다. 다만 어가(御駕)가 문을 나설 때는 표신을 대조하지 않았다.

[용례]
宮城門 則建春門光化門西夾 朝開夕閉 神武門迎秋門 則常閉之[『중종실록』 29년 8월 23일].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대전회통(大典會通)』

■ [집필자]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