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감(柑)

서지사항
항목명감(柑)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감귤(柑橘), 금귤(金橘), 산귤(山橘), 유감(乳柑), 청귤(靑橘)
분야경제
유형동물 식물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감자나무나 그 열매를 아울러 이르는 말.

[내용]
제주도의 특산물이자 진상품이었던 감(柑)은 귤·유자 등과 구별하여 기록되어 있다. 중국에서도 감자와 귤 등은 6종~7종으로 구분하였는데, 광증(廣橙)·첨증(甜橙)·중밀감(中蜜柑)·유감(乳柑)·문단(文丹) 따위가 대부분이었다.

[용례]
對馬州宗彦六之母使人謝賜米豆 仍獻土宜 回賜正布八十匹 對馬州左衛門大郞使人獻柑橘栽五十 [『세종실록』 6년 7월 2일]

[참고문헌]
■ 『미수기언(眉叟記言)』
■ 『계산기정(薊山紀程)』

■ [집필자]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