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간척(干戚)

서지사항
항목명간척(干戚)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둑제(纛祭), 무무(武舞), 문묘제례악(文廟祭禮樂), 일무(佾舞),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분야문화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아악(雅樂) 일무(佾舞)의 무무(武舞)를 출 때 사용하는 의물(儀物).

[내용]
간척(干戚)은 간(干)과 척(戚)의 합성어로, 간은 방패이고, 척은 도끼이다. 간은 붉은 바탕에 용을 그린 형태이고, 척은 자루 끝에 용머리 형태의 도끼를 꽂은 형태이다. 궁중의 아부(雅部) 제례에 추는 춤에 사용하는 도구로, 간은 왼손에, 척은 오른손에 든다. 간과 척은 아부 제례의 아헌(亞獻)과 종헌(終獻)의 절차에 추는 무무와 둑제(纛祭)의 초헌(初獻) 절차에 사용했으나, 오늘날에는 문묘 제례에만 사용한다. 방패는 자기를 방어한다는 의미가 있고, 도끼는 상대방을 대적한다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무공(武功)을 상징한다.

[용례]
掌令蘇世讓曰 國家女樂 當痛革之 前日革罷之時 未能盡革者 爲慈殿也 客人宴會 必以舞童爲之 而其弊則與女樂等矣 其妖邪詭怪之狀 於見聞 甚不合焉 女樂宜當革除 而只以干戚管籥 用之於朝廷 未爲欠也[『중종실록』 12년 8월 29일]

[참고문헌]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악학궤범(樂學軌範)』
■ 이숙희, 『국악기의 문양과 장식』, 국립국악원, 2006.

■ [집필자] 이숙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