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각궁(角弓)

서지사항
항목명각궁(角弓)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궁인(弓人), 만궁(彎弓)
분야정치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물소의 뿔을 주재료로 사용하여 제작한 활.

[내용]
각궁은 조선의 대표적인 전통활로 길이가 짧고 뽕나무, 뿔, 심줄, 부레풀, 실, 칠 등 여섯 가지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고, 매우 까다롭고 복잡해서 전문적인 장인(匠人), 즉 궁인(弓人)이 제작하였다. 이것을 사용할 때에는 반대로 뒤집어서 시위를 걸고 쏜다. 이러한 활을 만궁(彎弓)이라고 한다.

[용례]
幸景福宮 御慶會樓 會軍士觀射 步射過二百步者三人 騎射五發三中者一人 賜角弓各一[『세종실록』 6년 11월 27일]

[참고문헌]
■ 국사편찬위원회,『나라를 지켜낸 우리 무기와 무예』(한국문화사 14), 두산동아, 2007.
■ 박재광, 『화염조선』, 글항아리, 2009.
■ 유영기·유세현, 『우리나라의 궁도』, 화성문화사, 1991.
■ 육군박물관, 『학예지』12(무구류 제작법 특집) 2005.

■ [집필자] 강신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