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가흥청(假興淸)

서지사항
항목명가흥청(假興淸)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여기(女妓), 운평(運平)
동의어계평(繼平), 속홍(續紅), 흥청(興淸)
분야문화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연산군 때 궁중에 출입하던 여기(女妓).

[내용]
『중종실록』에 “여기를 고쳐 운평(運平)이라 하고, 대내(大內)에 들인 자를 흥청(興淸), 혹은 가흥청(假興淸)·계평(繼平)·속홍(續紅)이라 했다.”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가흥청은 여기를 뜻한다. 흥청은 연산군 때 처음 생긴 용어이다. 연산군이 전국의 기생 가운데에서 미모가 출중한 1등급 기생만을 엄선하여 대궐 내에 출입시켰는데, 이들을 일컬어 흥청이라 하였다. 처음에는 100여 명 정도였는데, 후에는 1,000명을 헤아릴 정도로 늘어났다. 『조선왕조실록』 중 『연산군일기』에 의하면 ‘흥청은 나쁜 기운을 씻어 없애다는 의미[所謂興淸乃蕩滌邪穢之意也]’라고 설명되어 있다.

[용례]
改女妓 號曰運平 入內者曰興淸 或曰假興淸 曰繼平 曰續紅 近侍者曰地科興淸 經幸者曰天科興淸[『중종실록』 1년 9월 2일]

■ [집필자] 이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