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히가시혼간지(東本願寺)[1]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현재의 도쿄도(東京都) 다이토구(臺東區) 니시아사쿠사(西淺草)에 있는 사원. 동본원사(東本願寺). 정토진종 히가시혼간지파(淨土眞宗東本願寺派)의 본산이며, 정식명칭은 조도신슈 히가시혼간지하 혼잔 히가시혼간지(淨土眞宗東本願寺派本山東本願寺)이다. 통신사의 에도에서의...
    유형분류유적
  • 히가시혼간지(東本願寺)[2]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현재의 오사카부(大阪府) 오사카시(大阪市) 주오구(中央區) 규타로마치(久太郞町)에 있는 사원. 동본원사(東本願寺). 정토진종(淨土眞宗) 신슈오타니파(眞宗大谷派)의 본산이다. 난바별원(難波別院)과 이바라키별원(茨木別院, 茨木市)이 있는데, 여기서는 난바별원을 뜻한다...
    유형분류유적
  • 히가키 야사부로(檜垣彌三郞)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우와지마번(宇和島藩) 번사. 회원미삼랑(檜垣弥三郞). 1748년 정사 홍계희(洪啓禧) ‧ 부사 남태기(南泰耆) ‧ 종사관 조명채(曺命采)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시게(德川家重)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다. 4월 중순, 통...
    유형분류인물
  • 히고(肥後)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현재의 구마모토현(熊本縣) 대부분 지역. 비후(肥後). 히고국(肥後國)이라고도 하며, 히젠국(肥前國)과 합쳐서 히슈(肥州)라고도 하였다. 송희경의 『일본행록』에는 비후주(肥厚州)로 되어 있다. 율령제(律令制) 하에서는 사이카이도(西海道)에 속하였는데, 1871년 ...
    유형분류제도
  • 히구치 간고(樋口勘吾)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감오(樋口勘吾). 평치신(平治信)라고도 한다. 1750년 9월부터 1752년 12월까지 57대 관수(館守)였다. 조재민(趙載敏)이 동래부사로 있을 때 반종(伴從) 3명, 종왜(從倭) 8명, 서기왜(書記倭) 1명 등과 함께 조선에 왔다.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고에이(樋口公瑛)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에도시대 중기의 유의(儒醫). 통구공영(樋口公瑛). 자는 고케이(後卿), 호는 도리(東里) ‧ 산이이와(三畏岩). 스오(周防) 거주. 1764년 정사(正使) 조엄(趙曮) ‧ 부사(副使)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從事官) 김상익(金相翊) ‧ 제술관(製述官) 남옥...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고자에몬(樋口五左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오좌위문(樋口五左衛門) 『변례집요(邊例集要)』에는 등충승(藤忠勝)으로 되어 있다. 1678년 7월에 봉진압물(封進押物) 1인, 반종(伴從) 5명, 격왜(格倭) 40명 등과 함께 서계를 지참하고 도항하였다. 향접위관(鄕接慰官)이 접대를 ...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구미에몬(樋口久未右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시대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구미우위문(樋口久未右衛門). 또는 히구치 구메에몬(樋口久米右衛門). 조선 측 자료에는 평방리(平方利)라고도 기록되어 있다. 1707년 8월부터 1711년 모월까지 제33대 관수(館守)를 역임하였다. 1711년 7월 30일 전 재판(裁...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기치에몬(樋口吉右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길우위문(樋口吉右衛門). 1708년에 팔송사(八送使) 만송원송사(萬松院送使)의 정사(正使)로 조선에 왔다.
    유형분류인물
  • 히구치 나이키(樋口內記)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통구내기(樋口內記). 평진치(平眞致)라고도 한다. 1711년 3월부터 1712년 11월까지 35대 관수(館守)였다. 이정신(李正臣)이 동래부사로 있을 때 반종(伴從) 3명, 종왜(從倭) 8명과 함께 조선에 왔다.
    유형분류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