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서·고문서 659,610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대표표제어公蘇 1호묘 | 발굴조사연대불명 | 고분군公蘇 | 무덤조성연대전국시대
  • 대표표제어公蘇壕墓群 | 발굴조사연대1900년대 | 고분군公蘇壕墓群 | 무덤조성연대춘추시대
  • 公賓之餼,亦先定厥式,先期辦物,以授禮吏,雖有贏餘,勿還追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賓餼品級,竝見〈禮典〉。【‘賓客’條】 ○觀察使饗食之饌,宜遵古禮。如或不便,宜遵邑例,須執十年之例,【例者,謄錄也】 去其太奢,去其最儉,取其中者,【不侈
    권차명牧民心書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公都子問或從其大體或從其小體章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趙曰:“大體,心思禮義,小體,縱恣情慾。” ○《集》曰:“大體,心也,小體,耳目之類也。” ○鏞案 大體者,無形之靈明也,小體者,有形之軀殼也。從其大體者,
    권차명孟子要義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公都子問曰:“均是人也,或爲大人,或爲小人,何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荀子曰:“耳目口鼻,能各有接,而不相能也,夫是之謂天官。心居中虛以治五官,夫是之謂天君。聖人淸其天君,正其天官。” ○又曰:“虛壹而靜,謂之淸明。心者,形之
    권차명心經密驗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公都子曰告子曰性無善無不善章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集》曰:“近世蘇氏ㆍ胡氏之說,蓋如此。”【蘇東坡ㆍ胡文正ㆍ胡五峰之說,並見《大全》】 ○鏞案 蘇說,非矣。堯ㆍ舜曰:“允執其中。” 《中庸》曰:“喜怒哀樂
    권차명孟子要義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公都子曰外人皆稱夫子好辯章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引證 《管子ㆍ法法》篇云:“《春秋》之記,臣有弒其君,子有弒其父者矣。” ○毛曰:“此語似孟子之所本。然此是舊時《春秋》,非夫子《春秋》也,則意封建之世多有
    권차명孟子要義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公開狀, [날짜 미상] [“미공개 이승만문서” 정리·분류 및 DB화 사업 | 연세대학교]
    자료명公開狀, [날짜 미상] | 자료형태문서 | 작성일[날짜 미상] | 작성자趙炳玉 | 작성언어한국어
  • 弓 平 重 上 䛪 去 匊 入 (君)  平 弓躬匑匔 上同 宮 ‧국 入 匊菊蓻 上同 上同 上同 鞠 又本韻 弓韻 掬 上同 上同
    서명東國正韻 | 저자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39] 육칠월(六七月) 흐린 날 삿갓 쓰고 도롱이 입고 곰뱅이 물고 잠뱅이 입고 낫 갈아 차고 큰 가래 메고 호미 들고 채쭉 들고 수수
    구분잡가 | 편저자李昌培